登山과 遊山
                            파 란 문

     우리나라 역사속 인물중에 가장 존경하는 분 있으시죠?
     많은 분들중에서도 저는 퇴계 이황선생님을 제일 좋아합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학, 모든 분야에서 탁월한 식견을 갖추신 분이시지만
     제가 특히 좋아하는 연유는 선생께서 "등산"을 매우 좋아하셨기 때문입니다
     퇴계선생님에 대해선 아시는 분들이 매우 많으실것같아 이런 글을 쓰기가 좀 그렇습니다만
     한때 퇴계 선생님을 너무 좋아해서 그분의 향기를 느끼러 이곳 저곳 많이 다니다
     나름대로는 매우 인상 깊었던 그 분의 새로운 면모를 깊이 느꼈기에 몇자 적습니다.
     어려서부터 가냘픈 몸매에 허약했던 선생은 집안 살림살이까지 어려워 
     영양상태가 매우 안좋았던 모양입니다..
     그런데도 주야를 가리지 않고 독학에 열중하여  더욱 허약해졌는데도 
     그 어려움을 이기고 일찍이 모든 과거시험에 장원급제를 하지요?
    우리나라 역사 속 인물 중에 높은 관직을 고사하시고 사표를 가장 많이 제출하신 분이
    바로 퇴계 이황 선생님이시랍니다. 총 오십여회라니...ㅎㅎ
    王들이 제발 관직을 맡아 달라고 애원을 하였으니 선생님의 위상을 짐작 하실만 하지요?
    영의정등 높은 관직을 사양하신 이유중에는 치졸한 당파싸움하는 꼴을 직접 대하기도 싫었겠지만
    핑개인지는 모르지만 건강이 시원치않아 사양한 경우가 많았답니다
    그래서 관직에서 물러나 나이 들어서는 건강을 무지하게 챙기셨는데 주로 안동과 봉화사이의
    청량산을 비롯해 소백산, 태백산, 월악산, 주흘산등, 많은 산에 등산을 함으로서 건강을 챙기시고
    특히 청량산엔 "청량정사"를 지어 기거하시며 많은 저서를 남기셨습니다
    뭇 강호의 유생들은 퇴계선생님을 만나려면 청량산을 올라야 했으니  
    등산 못하는 강호의 유생들은 퇴계선생님을 만나 뵙기도 힘들었답니다

     퇴계선생님의 등산에 관한 유명한 명언이 있죠?
     "讀書는 유산(遊山)이다"
퇴계선생님은 산을 오른다는 표현인 '登山'이라 하지 않고 "유산(遊山)"이라 하였습니다. 
즉, 登山은 산을 오른다는 의미 밖에 없지요?  
힘들게 산을 오르는것만이 아니라 산을 오르면 내려 가기도 해야하고, 
또한 산행 도중 식사도 하고 계곡에 발도 담그며 경치를 즐겁게 즐기며 산행도 해야겠죠? 
퇴계선생님은 이미 산행의 진정한 의미를 아시고
登山이라 하지 않고 유산(遊山)이라 했답니다
讀書에 대해선 더 설명할 필요 없겠지요?
"책 속에 삶의 지혜와 지식이 모두 들어 있으니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은 내 곁에 올 생각말아라!"
선생은 讀書많큼 즐겁고 중요한 일이 없다고 누누이 말씀하셨습니다
"책 속에 인생사 모든 섭리가 있고, 책 속에 자연의 천라만상의 이치가 들어 있으니, 
책 읽는 일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일이라 아니할수 없다"
遊山과  讀書를 동격으로, 讀書많큼 즐겁고 의미있는 인생사가 遊山이었던게죠

        讀書如遊山
     讀書人說遊山似  사람들은 글읽기가 산을 유람하는 것과 같다더니 
     今見遊山似讀書  이제 보니 산을 유람하는 것이 책 읽는 것과 같구나
     工力盡時元自下  공력을 다하면 스스로 내려오는 법
     淺深得處摠由渠  얕고 깊음을 아는 것 모두가 자기에게 달려있네
     坐看雲起因知妙  조용히 앉아 일어나는 구름을 보고 오묘함을 알고
     行到源頭始覺初  발길이 근원에 이르러 비로소 시초를 깨닫네
        - 퇴계 이황 선생님이 쓰신 "讀書如遊山"에서 
이제 따뜻한 봄바람이 금수강산을 뒤덮습니다.
여러분 어느 산이던 산으로 遊山 떠나지 않을래요?
퇴계선생님은 어려서부터 허약하였지만 
遊山으로 칠순까지 건강하게 사셨습니다
당시로서는 대단한 장수이지요

'이산저산 산행 추억 > 이산 저산 산행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愛妓峰  (0) 2008.04.02
문수산성 종주  (0) 2008.03.31
예봉산 - 적갑산 - 운길산 - 수종사 산행기  (0) 2008.03.25
柑岳山 山行  (0) 2008.02.10
송악산  (0) 2008.02.03
柑岳山
감악산은 먹는 과일 귤감과 같은 색 - 즉 귤감색이 나는,귤감처럼 생긴 험준한 산이라는데서 감악산이라고 했답니다
2월9일 토요일 느닷없이 떠났습니다.
경기5악 중에 하나인 감악산을 처음으로 등정하기 위해서입니다.
등산은 매우 좋아하여 거의 매주 다니지만 북한산만을 주로 다니다 보니
다른 유명한 산들을 다녀 보지 못해서 이산 저산 이야기 할때는 언제나 자리에 끼지 못합니다

감악산 등산 코스는 크게 적성 쪽에서 들어가 법륜사 입구로 올라 오른쪽 능선을 타고 임꺽정봉으로 돌아 
감악산 정상에 올라 까치봉으로 해서 다시 법륜사로 돌아 오는 코스가 있으며....

신암 저수지에서 오르는 코스, 봉암, 원당 저수지 쪽에서 오르는 코스 등이 있었습니다
나는 법륜사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 감악산 정상과 임꺽정봉 사이로 올랐습니다
북한산성 12문 종주 코스와 흡사한 곳이나 그 거리는 3분의 1정도 되는 좀 짧은 코스였습니다.

법륜사 입구

법륜사

법륜사 앞 이정표

계곡길 -

옹달샘 - 이 샘은 매우 유명한 감악산샘이랍니다. 
아래는 얼음이 둥둥 떠 다니지만 나오는 물은 오히려 따뜻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밖의 기온이 차다보니 지하에서 나오는 물은 상대적으로 따뜻하여 얼지 않았습니다.
물맛은 만족할만 했습니다.

감악산의 가운데 계곡은 옛날에 숯을 만드는 가마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여기 저기 흔적이 보였으며, 특히 하얀 눈속을 들여다 보면 검은 숯검댕이들이 보였습니다

임꺽정봉 - 
정상을 오르는데는 한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계곡길로 오르면 정상에서 오른쪽이 임꺽정봉 좌측이 감악산 정상입니다.
임꺽정이 관군을 피해 숨어 있었다는 굴이 절벽 가운데에 있었습니다

감악산 정상 오르는 길은 나무 계단을 최근에 만들어 놓았답니다.
이런 저런 비용을 등산객들에게 전가 시키려는지 입장료를 받았습니다. 1,000원
요즘 국립공원도 입장료를 받지 않는데 이런 조그만 산에 무선 입장료 하시겠지만
문화재 관람료도 아닌 삼림휴양료라고 인쇄된 입장권을 파주시 명의로 발행 하는 걸로 보아 
모든 산의 입장료가 법으로 폐지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감악산 정상
조금 작은 운동장 정도의 평평한 공간이 있었고, 놀라운 것은 어마어마하게 큰 안테나 철탑이 있었습니다.
저는 군부대 레이더 기지인줄로만 알았습니다. 군부대는 조그만 초소가 하나 있었을 뿐입니다
동행한 산우가 지난번엔 없었는데 처음 본다고 했습니다.
우측에 '감악산비'가 보이며 기념 증명 사진을 찍는 등산객들..ㅎ 저도 한참 기다려서 간산히 한장 찍었습니다

안테나 아래를 내려다 봤더니 웅장한 건물이 지어지고 있었습니다
알아 보니 KBS의 DBM방송 송출 안테나와 관련 건물을 짓고 있다고 했습니다.
어떻게 저렇게 큰 건물이 감악산 정상에 건축허가를 받아 지어지는지 의아했습니다
자연홰손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여하튼 이 안테나는 적성 연천 쪽에서는 어디서나 감악산의 위치를 알려 주고 있었습니다

올라 왔으니 증명사진은 필수 ㅎㅎ
뒤에 보이는 비석
세월의 풍상에 비석의 표면은 모두 마모되어 글자를 젼혀 알수 없어서 추측으로만 이 비석에 대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설인귀" 제단이라는 설과 "진흥왕 순수비"라는 설 두가지가 있었습니다.
설인귀는 당나라 태종때 요즘 말로 하자면 쫄병으로 군대에 입대해서 사령관이 되는 입지전적 인물이었죠
주로 우리 고구려를 침략하는 앞잡이 역할을 하였으며, 결국 고구려를 멸망 시키는 핵심 장군이었답니다
진흥왕 순수비라는 설은 모양이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와 매우 흡사하다는데서 유래하였답니다
그러나 모두 추정만 할 뿐 정확한 사실은 모르고 있답니다.
감악산 정상 좌측에 있는 정자 - 앞에 시원하게 적성과 임진강이 펼쳐집니다 이곳 적성과 고랑포 일대가 옛날 삼국시대 이전부터 최근 일제시대까지도 무척 번화한 지역이었답니다 남쪽에서 개성으로 가는 육로교통의 요충지 였으며, 임진강의 나룻터가 여기 고랑포에 있었기 때문이었다합니다 신라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하러 개성으로 갈때도 이 길을 이용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지역은 서로 차지 하려는 전투가 옛부터 6.25 한국전쟁때까지 계속되 왔답니다 6.25 때 감악산 전투도 유명하죠? 이 사진 속에 눈이 내리는 것은 제가 요술 도사라서가 아니라 눈을 기대했는데 내리지 않아 태그 처리를 해서 강제로 눈을 내리게 했습니다. 도사? ㅎ . 임진강 줄기가 굽이굽이 용꼬리처럼 휘감고 나아가고 있습니다 날씨가 좋으면 개성의 송악산이 지척에 있어 환히 보인다고 했는데 이날은 희뿌연 하늘 때문에 송악산은 커녕 도라산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맑은 하늘이 펼쳐지면 꼭 다시와서 송악산을 촬영하리라~~ 감악산은 초보산꾼들이 다니기에 안성맞춤인것 같습니다 산행 길이도 짧고 시간도 2시간반에서 3시간정도 경사도도 적당하고 아기자기한 산세가 북한산의 축소판 같았습니다




'이산저산 산행 추억 > 이산 저산 산행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愛妓峰  (0) 2008.04.02
문수산성 종주  (0) 2008.03.31
예봉산 - 적갑산 - 운길산 - 수종사 산행기  (0) 2008.03.25
登山과 遊山  (0) 2008.03.02
송악산  (0) 2008.02.03
송악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송악산

아기를 임신한 어머니가 머리를 풀고, 두손을 가슴 위에 다소곳 올리고 누워있는 듯한 형상의 송악산 정경
개성공단 쪽에서 바라본 송악산 정경이 제 손에 들어왔습니다...어떻습니까?
정말 그럴듯합니다

고려 충신 72현이 두문불출하고 살았다는 두문동과 황성옛터로 유명한 만월대를 언젠가는 가 봐야 할텐데....

'이산저산 산행 추억 > 이산 저산 산행 추억'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愛妓峰  (0) 2008.04.02
문수산성 종주  (0) 2008.03.31
예봉산 - 적갑산 - 운길산 - 수종사 산행기  (0) 2008.03.25
登山과 遊山  (0) 2008.03.02
柑岳山 山行  (0) 2008.0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