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봉화길』
       『제9길 설성산길』
        "옛 陰竹縣의 도읍지를 가다" 
      
           설성면사무소-성호저수지-설성산-설성산성-선읍리-설성천-청미천-장호원교
['9코스 설성산길' 안내도] "경기옛길-봉화길 제9길 설성산길"의 공식 안내도입니다.
['국토지리원 지도 실트랙'] ★사진을 클릭하면 확대 됨★ "경기옛길-봉화길 제9코스""설성면사무소"에서 "성호저수지"를 돌아 보고 "설성산"을 오르고 "장호원교"까지 "16km"를 가는 코스입니다. ['이천역'] 10:25 2024년 3월 16일 토요일 맑음 연무 <분당 이매역>에서 <경강선>을 타고 "이천역 1번출구"로 나가 다시 버스를 타고 "설성면 금당리"로 가기 위해서, 시내버스 시간표를 참고하는데.... <이천역>에 있는 <25번 시내버스>의 시간표는 <이천버스터미널> 출발 시간표더군요. <이천버스터미널>에서 이곳 <이천역>까지는 약15분 정도 걸린다는 것을 참고해야 하더군요. 저는 터미널에서 10:10에 출발하는 버스를 이곳 <이천역>에서 10:27분에 타고 갑니다. ['설성면행정복지센터' 앞] 11:10 <이천역>에서 약43분이 걸려 "금당리-설성면행정복지센터"에 도착하여 답사를 시작합니다. ['금당리' 통과] 면사무소 우측 골목으로 <금당리> 마을을 7분여 진행하면.... ['장능1리'] 11:17 "장능1리"입구를 만나 좌측 임도로 진행하고 ['성호저수지' 조망] 11:20 이어서 바로 지난 <8코스>에서도 만났던 "성호저수지"와 잠시후 올라야 할 "설성산"이 연무 속에 나타나며.... ['장능리' 임도] <금당리>와 <장능리>를 분리하는 임도를 따라 8분정도 진행하면.... ['성호저수지' 앞] 11:28 <성호저수지>에 도착합니다. ['성호저수지'] 주말을 맞아 낚시꾼들이 저수지를 빙 돌아 가며 저마다의 시간을 즐기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열혈 낚시꾼>을 <강태공>이라 부르지요. 뭘 잘 모르는 사람들이 그냥 하는 말인데 실제 중국 <강태공>은 소를 도살하는 백정도 했으며, 중국 역사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친 병법가이며 제상이었는데, 후에 <제나라>의 시조가 되어 춘추전국시대의 큰 역사인물이 되었죠. 그가 쓴 병법서 <육도>의 끝 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글이 지금까지도 명언으로 남아 있는데 "天下非一人之天下, 乃天下人之天下也. 同天下之利者則得天下" 천하는 한 사람의 천하가 아니라 세상 사람들의 천하니 천하와 이익을 함께 하는 자만이 천하를 얻을 수 있다." ['성호교'] 11:34 <성호저수지> 댐으로 내려 가면 <성호교>라는 다리가 있는데 다리를 건너 바로 우측으로 가야하며 <설성산>과 <우주위성전파감시센터>의 "우주위성안테나"가 있는 곳으로 진행합니다. ['신필리' 통과] '이천시 설성면 신필리' 들판길을 25분여 진행하면..... ['신필2리 마을회관'] 11:50 "신필2리 마을회관"을 만나고 ['설성산'과 '위성전파감시센터'] 다시 8분 정도 더 진행하면... [등산로 입구] 11:58 자동차 도로를 만나는데, <설성산 등산로> 입구가 있는 곳입니다. 우측엔 "위성전파감시센터"가 있습니다. ['설성산' 등산로 들날머리] 앞으로도 12km를 더 가야 한다는 안내판이 있는 등산로 입구로 들어 가서 [오름길] 비교적 완만한 오름길을 30분 정도 올라 가면 ['설성산 정상부'] 12:24 <설성산 정상부>가 보이기 시작하고 ['설성산 정상'] 12:28~12:39 "설성산 雪城山 290.6m" 정상에 도착합니다. 정상석엔 "280m 높이"라고 합니다만 국토지리원 지도와 각종 지도에는 모두 "290.6m"라고 표기되 있고 정상엔 정자가 있는데 <설성산정>이라는 현판과 <봉화정 烽火亭>이라는 현판이 두개가 있더군요. 옛날엔 봉화대도 있었나 봅니다. ['국립전파시험인증센터' 조망] 북서쪽이 조망되는데, "국립전파시험인증센터"가 보이는데, 뒤엔 <독조지맥> 산줄기가 보입니다. ['장호원' 방향 조망] 연무가 심해 <장호원> 방향으로는 오리무중.....아쉽군요. [내림길] 정상에서 10여분 쉬고, 제법 가파른 내림길을 잠시 내려 가면... ['신흥사' 조망] <신흥사>가 보이기 시작하고 ['신흥사'] 12:47 "신흥사"에 도착하는데 수많은 절간 중에 하나라고 여겨져 그냥 패스... ['관세음보살'] <신흥사>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제법 날씬한 <관세음보살>을 입니다. [내림길] <신흥사>부터는 포장도로가 이어지는데 조금 내려 가면.... ['설성산성'] 12:50 "설성산성 雪城山城"을 만나는데 이곳은 <동문 東門>이 있었던 곳이라고.... [내림길] <동문>에서 내림길을 7분여 더 내려 가면... ['스탬프함'과 '석불입상'] 12:57 <스탬프함>과 <석불입상>이 있는 곳을 만나는데 ['음죽군 읍치 이야기'] 이 지역이 옛날 <음죽현 陰竹縣(音竹縣)>의 도읍지 였다는 안내판이 있는데 새로운 내용이 있어 요약하면 1. <장호원 長湖院>은 원래 <장해원 長海院>이라는 "역원 驛院"이 있었던 곳이고 2. <청미천 淸渼川>은 원래 <천민천 天民川>이었는데 <천미천 天尾川>으로 변하고 다시 <淸渼川>이 되었다고... ['선읍리 석불입상'] . 안내문을 참고하고 ['선읍리' 조망] "선읍리 善邑里"를 조망하며 내려 가는데, 옛날엔 <음죽현 陰竹縣>의 도읍지였답니다. <선읍리>는 옛날 <음죽현>의 중심지여서 <선읍리 先邑里>였는데 <착할 善>으로 바꾼듯... ['음죽현 쌈지공원'] 1:11 "음죽현 쌈지공원"을 만나는데 "붓" 조형물이 눈길을 끕니다. ['이인상'] <이인상>이라는 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도 있습니다. ['선읍리' 통과] <설성천 雪城川>이 제법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는 <장호원읍 선읍리> 들판을 20여분 진행하면... [갈림길] 1:33 <장호원의 진산>이라는 <백족산>이 보이기 시작하며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을 만납니다. <百足山>은 다리가 백개인 "지내"가 살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지난 <경기둘레길 38코스>에서 알아 보았습니다. 여기서 좌측으로 방향을 틀기 전에 먼저 뒤돌아 보면.... ['설성산' 조망] 지나온 <설성산>과 <여주 남한강 세물머리>로 향하는 <독조지맥>이 조망되는군요. ['선읍1리' 조망] 갈림길에서 좌회전하면 <선읍1리>와 <원하리>가 조망되는데 옛날 <음죽현>의 <원院> 아랫 마을이라 <院下里>라 하는듯.... ['원하리(선읍1리) 버스정류장] 1:36 시내버스가 다니는 <원하리(선읍1리) 버스정류장>을 만나 도로를 따라 13분쯤 진행하면... ['원하삼거리'] 1:49 <3번국도>가 지나는 "원하삼거리"를 만나 우회전하고 ['3번국도'] <3번국도>를 100m 정도 가면... ['풍계리 입구'] 1:51 "풍계리 입구 삼거리"를 만나 길을 건너 가야 하더군요. 그런데 이곳 도로를 건너기 위해선 신호 변경을 해야 하는데 수동으로 보행자가 직접 "보행자 신호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 두기 바람니다. 모르면 계속 서 있어야 하니 먼저 <보행자 신호 버튼>을 찾아 누르기 바람니다. ㅎㅎ ['풍계새마을교'] 1:55 <풍계리 입구삼거리>에서 <풍계리>로 들어 가면 <풍계새마을교>를 바로 만나는데 다리를 건너 건너편 둑방길을 이용해 <설성천>을 따라 진행합니다. ['설성천변길'] <설성천변길>을 25분 정도 진행하면 ['풍계교' 앞 삼거리] 2:19 <풍계교>를 만나는데 다리 앞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어야합니다. ['노탑리' 조망] <노탑리>가 보이는데 농로를 진행해 마을로 들어 가면 ['노탑1리 마을회관'] 2:31 '산수유'가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노탑1리 老塔1里 마을회관"을 지나는데 오래된 탑이 있는 마을인가 봅니다. ['37번국도] 2:34 마을회관을 지나면 <여주-장호원>을 잇는 <37번국도>가 지나는 곳에 있는 버스정류장을 만나는데 길을 건너 직진합니다. ['청미천'] 2:37 그러면 바로 "청마천 淸渼川"을 만나며, 건너편엔 <강동대학교>와 <오갑산>이 보입니다. <오갑지맥>과 <독조지맥> 사이에 흐르는 개천이 <청미천> 입니다. ['청미천변길'] 2:38 이어서 둑방길을 버리고 <청미천변길>로 내려 가라고 하는데 좌측 청미천 징검다리가 <경기둘레길 37코스>가 지나는 곳입니다. 즉,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道界가 되는 곳이란걸 알수 있습니다 ['감곡장호원역'] "KTX중부내륙선"이 지나는 <청미천철도교>를 지나 "감곡장호원역"을 조망합니다. "매산"이 보이죠? <임오군란> 때 <여주 장호원>으로 도망친 <명성왕후>에 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바로 건너편 <매산> 아래 <매괴고등학교> 자리로 피신했죠.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제가 쓴 <경기둘레길 37코스 답사기>를 찾아 읽어 보세요~~ ['감곡장호원역' 줌인] "감곡장호원역" <감곡>은 <충북 음성군 감곡>이고 <장호원>은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인데 역명을 합쳤습니다. 뒤로 <극동대학교>가 보입니다. 프로야구 원년 홈런왕이었던 <김봉연 선수>를 기억 하십니까? 그 선수가 이 대학 교수를 지냈지요. 이 시골에 <강동대학교>와 <극동대학교> 두개가 있습니다. ['경기둘레길37코스' 갈림길] 3:05 "경기둘레길37코스 갈림길" 이어서 <경기둘레길 37코스>는 여기서 우측 <장호원버스터미널>로 가고 <봉화길>은 직진합니다. ['장호원교'] <청미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충청북도>와 <경기도>가 나뉘는 "장호원교"를 만납니다. 좌측이 <충북 음성군 감곡>이고 우측이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입니다. ['경기옛길-봉화길' 종점] 3:12 <장호원교>로 올라 가면 "경기옛길-봉화길 종점"이 있으며 <스탬프함>과 안내판이 있습니다. 이곳은 <청미천 자전거길 쉼터>이기도 하더군요. ['청미교 사거리'] 3:13 이곳의 다리는 <장호원교>인데 다리 앞 사거리의 이름은 <청미교 사거리>라고 해서 혼돈을 줍니다. ['고도표'] <설성산>의 높이가 매우 뾰쪽하게 나왔습니다만 290m 정도라는 것을 참고하기 바람니다. 16km 거리를 압축하다 보니 높이가 상대적으로 올라 갔습니다. ['봉화길 전체 안내도'] "경기옛길 봉화길" <경기 하남시>에서 <남한산성>을 오르고 <경안천><곤지암천>을 따라 <앵자지맥>이 지나는 <넋고개(넓고개)>를 넘고, <이천 설봉산>을 또 오르고, <봉화길>이 아닌 <참배길>인 <세종대왕릉>을 다녀와 <여주-이천쌀>의 본향인 <자채방아마을>을 지나, <설성산>을 오르고 <충청도>와 <경기도>의 경계인 <장호원>까지 총 135km를 걸었습니다. <경기문화원>이 <영조시대> 인물 <여암 신경준>선생이 집필한 "도로고 道路考"를 참고하여 만든 "경기옛길"을 모두 걸어 보았습니다. 원형의 옛길과는 큰 차이가 있는 "걷기코스"였지만 그런대로 한번쯤 걸어 볼만한 코스였다고 생각 됩니다 마지막으로 <칼의 노래><남한산성>등 역사 소설로 유명한 <김훈 작가>가 쓴 <자전거 여행>이라는 책 속에 <여암 신경준> 선생에 대해 언급 한 글을 인용하면서 답사를 마침니다. 신경준에게 길은 삶의 도덕적 가치와 상징 들 사이로 뻗어나간 공적 개방성의 통로이다. 이 공적 개방성의 통로 위에서, 길을 가는 일은 달리기가 아니라 '행함'이고, 길의 의로움은 집의 어짊에서 출발해서 집의 어짊으로 돌아온다. 신경준의 지리책을 읽을 때, 집에서 길로 나가는 아침과 길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저녁은 본래 이처럼 신선하고 새로워야 마땅하다
"나는 내가 가는 길이 후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될까봐 언제나 조심스럽다"
파란문印
파란문印
  ★살며..느끼며..서로 사랑하며 ☆홍어와 무인도☆ 여기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