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평화누리길』
『제13코스 서화길』
瑞和, 天桃, 月鶴, 그 접경마을 속으로...
후평교-반월촌교-평촌교-심적교-서화체육공원-양지교-후동교-용늪마을-섶다리-
무쇠점교-무쇠점1교-사천교-월학리-풍전교-구미마을-구미교-을지신병교육대
['13코스 안내도']
['구글어스 실트랙']
<강원평화누리길 13코스>는 공식적으로 "37km"라고 합니다만, <12~13~14코스>를 적절히 분활하여
오늘은 지난 <12코스> 종점으로 삼았던 "후평교"에서 출발하여, "달빛소리마을"에 있는
"육군12사단 을지신병훈련소"까지 "약20km"를 걷게 되겠습니다.
['후평교' 앞] 9:50
2023년 10월 22일 일요일 맑음
<후평교> 앞에서 "강원평화누리길 13코스"를 출발합니다.
깊어 가는 가을날씨를 보이고 있는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입니다.
['후평교'와 '승공통일비']
"후평교"와 "승공통일비"는 지난 답사기에서 언금 했습니다만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제3군단장> 시절에 건설한 다리이며
다리를 준공하고 기념으로 <승공통일비>를 세웠다고 합니다.
[데크길]
<후평교>에서 남쪽으로 <인북천>을 따라 데크길이 이어집니다.
['인북천']
오늘은 "인북천 麟北川"을 따라 걷는 어쩌면 단조로운 코스가 되겠습니다만
<금강산 매자봉>에서 발원하여 <비무장지대>를 통과하여 흐르는 오염되지 않은 맑은 물과 함께
접경지역 사람들의 삶의 현장을 둘러 보며 걷는 길은 가을정취를 한층 더 즐겁게 했습니다.
['인북천변길']
데크길을 지나면 새 단장한 평화누리길이 이어지며
['반월촌교' 조망]
['반월촌교' 앞] 10:06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의 "반월촌"이 펼쳐지며, 공사중인 <반월촌교>를 지나 갑니다.
공사중이라 우회하라고 안내합니다만 무시하고 직진합니다.
[군부대]
"DMZ접경지역"이다 보니 곳곳에 군부대가 이어 집니다.
부대 배치를 받아 군용트럭을 타고 비포장도로를 덜컹거리며 가며
"인제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라고 하던 곳.....은 이렇게 변했습니다.
병영은 "콘도" 수준으로 변하고 내무반은 '페치카' 대신 냉난방시설이 완비되었다니 우리나라 좋은나라
['반월촌'과 '대암산' 조망] ★사진을 클릭하면 확대 됨★
<반월촌교>를 지나 <평촌교>로 가는 중간에서 바라보는 "대암산과 반월촌"입니다.
['평촌교'] 10:15
<후평교>에서 25분 정도 <인북천변길>을 진행하면 "평촌교 坪村橋"를 만납니다.
<백두대간 향로봉> 부근에서 부터 흐르는 개천인 "서화천 瑞和川"이 <인북천>에 합류하는 곳인데
이 개천을 따라 올라 가면 바로 <향로봉 능선>을 넘어 <진부령>으로 갈수 있다는데...
['평촌교' 앞 이정표]
<평촌교> 남쪽에는 크다란 이정표가 길안내를 하고 있는데
"DMZ평화의 길"은 이곳 <평촌교>에서 <서화천>을 따라 올라 가다가 <향로봉 능선>을 넘어
<진부령>에 있는 <진부령 미술관>으로 바로 간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길은 아직 미개통 구간이어서
현재는 갈수 없고, <평화누리길>과 함께 <원통>으로 돌아 간다고 합니다.
['평촌' 통과]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 평촌마을"을 개천변길을 따라 통과합니다.
['심적교'] 10:22
<평촌교>에서 6~7분 진행하면 "심적교 深積橋"를 만납니다.
'서화면 심적리'는 <인북천> 건너편 <대암산> 아랫편에 있고...
['평촌' 통과] ]
20여분 <서화리 평촌>을 통과하면....
[폐 비행장] 10:43
폐 비행장을 만나는데 프로펠라 전투기들이 활약하던 시절의 비행장이었다고
[즐거운 트랙킹]
<프란치스코의 세상이야기>라는 블로그를 운영하며 답사기록을 잘 정리하여 기록하고 있는
아이디 <프란치스코님> 부부가 즐거운 가을 트랙킹을 하고 있습니다. 부럽 부럽~
[뒤돌아 본 '평촌']
<평촌>의 폐 비행장을 지나 뒤돌아 본 "서화리 평촌"입니다.
"서화면 瑞和面"의 옛 중심지는 "서화리 평촌 瑞和里坪村"이라 합니다.
옛날엔 이곳이 "서화현 瑞和縣"으로 현감이 주재하던 곳인데,
현재는 "천도리 天桃里"가 <서화면>의 중심지가 되고, 이 마을은 인구가 줄어만 간다고....
['서화리' 가는 길]
<인북천>이 휘돌아 나가는 커브길은 강물의 침식으로 절벽이 만들어 지며 색다른 자연경관을 만들고
['서화면 천도리' 조망]
이어서 <서화면>의 중심지인 "서화면 천도리 瑞和面 天桃里"가 펼쳐지기 시작합니다.
앞에 보이는 아파트는 <천도아파트>
['서화리'와 '백두대간']
"서화면 천도리 瑞和面 天桃里" <서화면사무소>가 있는 중심지 전경입니다.
<백두대간 향로봉 능선>을 두고 <진부령>과 <서화면>이 분리된다는 것이 보입니다.
사진에 표기한 <백두대간 칠절봉> 너머에 <진부령>이 있습니다.
이 지역이 "천도리 天桃里"라는 이름을 갖게 된 전설이 이채롭더군요.
"옛날 세상에 처음 보는 커다란 복숭아 하나가 하늘에서 떨어져 이것을 본 한 사람이 좋은 일이 생길
징조라 여겨 복숭아가 떨어진 곳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불과 몇 해 되지 않아 큰 부자가 되었으며,
이 사실이 인근에 알려지자 많은 사람들이 몰려와 집을 짓고 살게 되어 한 마을이 형성되었답니다..
그리하여 이웃 마을에서는 이 마을을 "하늘에서 복숭아가 떨어진 곳"이라 하여 "天桃里"라 불렀다고..."
['서화생활체육공원'] 11:17
"서화생활체육공원"
<서화면>의 총 인구가 3,300여명이라는데 인구 대비 상당한 규모의 생활체육시설이더군요.
나이트시설까지 완비되 있습니다.
['서화초등학교' 앞]
운동장을 지나면 <펀치볼>에서 오는 <453번지방도>가 지나는 도로가 있고
건너편엔 "서화초등학교"가 있습니다.
학생수는 제법 많은 76명 (남 42명,여 34명)이랍니다.
['버스정류장] 11:19
<서화초등학교앞 버스정류장>을 지나면
['서화 회전교차로']
화려한 색깔의 국화로 단장된 <서화회전교차로>가 눈길을 끌고....
[전망쉼터] 11:20
쉼터와 전망대도 있습니다.
['인북천']
['코스모스 길']
산책로로는 최고 일듯한 <인북천변길>을 지나는데 코스모스가 아직도 하늘거리며 자태를 뽐냄니다.
['서화중학교' 앞] 11:27
이어서 "서화중학교"
학생수는 25명 (남 12명,여 13명)이랍니다.
['서화문화북지타운'] 11:29
"서화문화복지타운"을 만나고...5분여 더 진행하면...
['양지교' 앞] 11:34
"양지교 陽地橋"를 만나는데, 다리를 건너 가더군요.
['양지마을' 조망]
['양지마을']
<양지교> 건너편은 "서화면 천도리 양지마을"이랍니다.
['평화공원 정자' 조망] 11:39
<양지교>에서 조금 내려 가면 건너편에 정자가 하나 보이는데
<비득고개>에 조성 중인 <평화공원>에 있는 전망 정자라고...
10여분 진행해서 뒤돌아 보면...
['비득고개' 조망] 11:49
<비득고개>와 <평화공원 정자>가 조망되며, <비득고개>를 기준으로 <천도리>와 <서흥리>가 분리되고
<인북천 방호벽>이 규모를 자랑합니다.
[펜션단지]
<비득고개> 우측엔 펜션단지가 유혹하고
['인북천변길'] 12:08
아름다운 <인북천변길>을 18분여 진행하면 이름 모를 다리를 지나게 되는데
['인북천변길']
이름 모를 다리를 지나 8분여 더 진행하면....
['후동교'] 12:16
<용늪마을>로 들어 가는 입구인 "후동교"를 지나고..... 마을을 통과하면...
['용늪마을회관'] 12:26
'서화면 서흥1리' "용늪마을회관"을 지나게 됩니다.
"용늪"은 여기서 제법 먼 <대암산> 정상부근에 있습니다.
<용늪>으로 올라 가는 입구에 있는 마을이지만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용늪마을>이라 한듯...
정확하게 하자면 <용늪입구마을>이라 해야 할듯...
['대암산-용늪길' 입구] 12:27
<용늪마을회관>을 지나면 다시 <453번지방도>를 만나는데 <대암산 용늪>으로 가는 입구라고 알리고
['용늪마을' 안내도]
"논장교 論章橋" 앞에는 여러가지 안내판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서화현의 쌀 창고"가 있었었다고
['용늪리조트' (용늪자연생태학교)] 12:34
<용늪리조트>로도 사용한다는 <용늪자연생태학교>도 잠시 들여다 보고...
['대암산' 조망] ★사진을 클릭하면 확대 됨★
<용늪마을>에서 "대암산 용늪"을 조망합니다.
참고로 <용늪> 사진을 첨부합니다.
[2009년 6월 13일에 촬영한 "대암산 큰용늪"]
이 "늪"은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있으며, 1,280m 高地帶에 있는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고냉습지 高冷濕地"라고 합니다.
그래서 세계 자연생태계보존지구 "람세스"에 가입되있는 곳이기도 하답니다.
['섶다리'] 12:41
<용늪자연생태학교>를 지나면 <섶다리>라는 다리를 지나는데...
"섶다리"는 나무 풀로 엮어 만든 간이 다리를 "섶다리"라고 하는데....
['무쇠점교'] 12:44
이어서 "무쇠점교"를 만납니다.
여기선 다리를 건너 <무쇠점골>을 지나 멀리 보이는 <무쇠점1교>를 다시 건너 가더군요.
['무쇠점골' 통과]
옛날 200여년 전에 이곳에 "무쇠"로 솥 등을 만들어 팔던 가게가 있어서 "무쇠점골"이라 한답니다.
10여분 <무쇠점골>을 통과하면...
['무쇠점1교'] 12:55
"무쇠점1교"를 건너고
[쉼터] 12:58
<무쇠점1교> 아래엔 쉼터가 있으며....
[포토존] 12:59
<포토존>도 있으며, 이곳이 <용늪 대바위마을>이라고 알려 줍니다.
['용늪대바위마을' 통과]
<용늪대바위마을>을 10여분 통과하면....
['사천교' 조망']
['사천교' 앞]
['사천교'] 1:09
"사천교 沙川橋"에 도착합니다.
<양구 경계>에서 20.5km 지점이며 <원통>까지는 16.1km 남았다는 이정표가 있습니다.
"사천沙川"은 <인북천> 이 부근에 모래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하고...
<사천교>를 건너 다시 우측 <인북천변길>로 진행합니다.
<사천교>를 기준으로 "서화면 서흥리"에서 "북면 월학리"로 건너 가게 됩니다.
['인북천']
<인북천변길>을 잠시 진행하면...
[군부대]
군부대를 옆에 끼고 15분여 진행하면....
['백마정'] 1:25
이 주변이 <백마촌>이라고 "백마정"이라는 정자를 하나 만들어 놨는데,
이 정자엔 유명한 漢詩가 걸려 있어 눈길을 끕니다.
이 漢詩는 유명한 <춘향전>에 나오는 "어사출두시"이죠.
"변학도"가 상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차려 놓은 음식과 술로 잔치를 벌이며 <춘향>에게 수청을
들라고 할때 나타난 허럼한 차림의 <이몽룡>이 <변학도>에게 써준 글이죠.
이 글을 본 <변학도>가 혼비백산 도망치려 할때 "암행어사 출두요~~"가 울려 퍼지며
전세역전의 통쾌한 팡파레 속에 재회의 기쁨을 만끽하는 <춘향>과 <이몽룡>의 포옹~~~ㅎㅎ
"金樽美酒 千人血 (금준미주천인혈: 금잔의 맛좋은 술은 만백성의 피요)
玉盤佳肴 萬姓膏 (옥반가효만성고: 옥쟁반의 맛난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니)
燭淚落時 民淚落 (촉루낙시민루낙: 촛농이 떨어질 때 백성들이 눈물 쏟고)
歌聲高處 怨聲高 (가성고처원성고: 노래 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도 높더라)"
['아미평화순례길']
<백마정>을 지나면 "아미평화순례길"이라는 표지기가 걸려 있는 아름다운 <백마촌길>이 이어지며
10여분 진행하면...
['월학리 송학마을' 조망] 1:37
"인제군 북면 월학리 송학마을"을 만나며 <군인아파트>가 상당한 규모로 있습니다.
뒤에 보이는 산은 <명당산 763.7m >로 보이며, <평화누리길>은 우측 <풍전교>를 건너게 됩니다.
['풍전교'] 1:37
[뒤 돌아 본 '풍전교'] 1:41
"월악리 송학마을"에서 <풍전마을>로 건너 가는 다리가 "풍전교 豊田橋"였습니다.
<풍전교>를 건너 <풍전교>와 <송악마을>을 뒤돌아 보고
['인북천변길']
"북면 월학리 구미마을"을 돌아 15분 정도 진행하면....
['구미마을' 입구] 1:57
"구미마을" 입구
이 마을엔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여러개의 '고인돌'이 발견되어 오래된 마을 임을 알 수 있다는데
한편 슬픔에 잠긴듯한 '장승'이 서 있어 좀 이상한 느낌이고, <신사임당>의 詩碑는 어찌 이곳에 있는지..
저는 우리나라 최고액 50,000원짜리 지폐의 모델로 지정된 <신사임당>이 그렇게 위대한 분인가에
대해선 의문을 품는 사람입니다. 왜냐하면 <신사임당>은 <율곡 이이>의 어머니일뿐 역사적 민족적
업적을 남긴 인물은 아니라고 생각되기 때문인데, 자식 교육을 잘시킨게 업적이라면 업적이겠지만
그런 모성애는 여성이라면 누구에게나 있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입구 안내석에 있는 그녀의 유명한 시는 <율곡 이이>를 친정인 '강릉 오죽헌'에서 낳고
<선자령>을 넘어 시집이 있는 <한양>으로 가면서 친정 어머니를 생각하며 읊은 시인데,
<선자령>과는 아주 멀리 떨어진 이곳에 왜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구미교'] 1:58
"구미교"를 건너 우측 <인북천변길>로 잠시 진행하면...
['12사단'] 2:03
<12사단 신병훈련소> 본부 건물을 만나고, 10여분 더 진행하면...
['12사단 을지신병훈련소' 조망] 2:09
<12사단 을지신병훈련소> 전경이 조망됩니다.
['인북천변길']
10여분 <인북천천변길>을 더 진행하면...
['을지신병훈련소 주차장'] 2:20
"12사단 을지신병훈련소" 주차장을 만납니다. 일요일이어서인지 주차장이 한산합니다.
이 지역은 "인제군 북면 월학리"의 "달빛소리마을"이더군요.
이곳에서 오늘의 트랙킹을 마칩니다.
[구글어스]
오늘 걸은 거리는 약20km였으며, 4시간 30분이 걸렸습니다.
오~매 단풍 들것네
김영랑
"오~매 단풍 들것네"
장광에 골 붉은 감잎 날아오아
누이는 놀란 듯이 치어다보며
"오~매 단풍 들것네"
추석이 내일모레 기둘리리
바람이 자지어서 걱정이리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오~매 단풍 들것네"
*장광 → 장독대
*파란문의 감상"
전라도 사투리를 섞어 가며 가을을 노래 합니다
단풍과 누이의 마음....누이가 시집 갈 때가 되었는지 더욱 발그스레 이쁘지는
누이의 얼굴을 단풍에 비유하며 아름다움을 노래한다고 느껴집니다.
"나는 내가 가는 길이 후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될까봐 언제나 조심스럽다"
파란문印
![](https://t1.daumcdn.net/cfile/cafe/127B321F4ADBFAD74E)
![](https://t1.daumcdn.net/planet/fs13/7_29_9_1_4vhS0_10792249_54_5463.gif?original&filename=5463.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414290E4BC3E59FA0)
파란문印
![](https://cafe.daum.net/paraan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