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여강길 7코스 부처울습지길』
 "상백마을회관-부처울습지-계신리마애여래입상-삼신당-이포나루-이포보"


  [실트랙 지도]             
  "여강길 7코스:부처울 습지길"은
  <상백2리 마을회관>에서 출발하여 <부처울 습지>와 <상백교>를 통과하여 
  <계신리 마애여래입상>을 구경하고 <삼신당공원>과 <이포나루>를 거쳐 <이포보>를 통과하여
  <당남리섬 입구>까지 가는 9.3km 코스라고 합니다.


  ['상백2리 마을회관']           12:00~12:22     
  2022년 5월 3일 (화)  맑음             
  <여강길6코스-왕터쌀길>의 종점인 "상백2리 마을회관"에서 휴식을 20여분 취하고
  계속해서 "여강길 7코스-부처울길"을 진행합니다.
['여주역 버스시간표'] <6코스>와 <7코스>를 분리해서 답사 할 분들에게 도움이 될 <여주역>에서 이곳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운행 시간표입니다.
['7코스 안내판'] <상백2리 마을회관> 앞 도로변 쓰레기통 옆에 있는 <7코스 안내도>를 참고하고 [갈림길] [강변으로 나가는 길] 다시 뒤돌아 강변으로 나가면.... ['찬우물나루터'] 12:31 <7코스 안내도>에는 "상백리선착장"이라고 표기된 "찬우물 나루터"를 만납니다. 강변길을 잠시 통과하여 도로로 나가서 [도로] 12:42 도로를 잠시 진행하면서 우측 <부처울 습지>를 조망합니다. ['부처울 습지' 조망] "부처울 습지" <남한강의 습지>는 <4대강 사업>등 여러 개발로 대부분 사라졌지만 <복하천>이 <남한강>에 합류하는 이곳 구간에는 "부처울습지"라고 하는 습지가 아직도 살아 남아 있어 자연생태계가 숨쉬고 있답니다. 특히 2010년에 멸종위기 동물인 <수리부엉이>가 최초로 발견 될 정도로 자연생태계가 살아 있었는데, <4대강 사업>으로 습지는 엄청 홰손되었지만 다시 자연적으로 조금씩 복원된다고 ['상백교' 조망] ['상백교' 입구] 12:51 <복하천>을 건너기 위해선 <상백교>로 가야 하고 [복하천'] <상백교> 중간에서 "복하천 福河川"이 <남한강>과 합류 하는 곳을 조망합니다. 아직도 살아 남은 거대한 "부처울 습지"의 이름을 지어준 <석불암>의 불상이 조망되는데 줌인 해 보면....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조망] 잠시 후 들릴 예정인 "계신리 석불암 마애여래입상"이 누각 안에 보입니다. ['복대교차로'] 12:58 <복하천>을 건너는 <상백교> 끝에는 <복대교차로>가 있습니다. 교차로의 좌측은 <여주시 흥천면 복대리>이고 우측은 <계신리> 랍니다. 여기서 우회전하면... ['계신리' 가는 길] 보도가 없는 [333번지방도]를 10여분 진행하게 되고 ['석불암' 조망] 우측에는 <석불암 마애여래입상>이 조금 더 가까이 보입니다. [삼거리] 1:07 <석불암>과 <계신리마을회관>은 우측에 있는데, 이곳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가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좌측으로 돌아 이 도로 굴다리를 통과 해야 하기 때문이었습니다. ['계신리 마을회관' 앞 삼거리] 1:13 이정표가 있는 <계산리 마을회관 앞 삼거리>에 도착했습니다. 공식 GPX트랙은 여기서 직진하라고 합니다만, <석불암 마애여래입상>을 보고 오기 위해 우측 골목으로 들어 가면... ['계신리 마을회관'] 1:14 "계산리 마을회관"을 만나며, <석불암>은 마을회관 좌측길로 이어져 뒷편으로 갑니다. ['석불암' 입구] 1:17 ['석불암'] 1:22 <석불암> 입구를 통과하여 들어 가면 <석불암>에 도착하고 ['석불암' 앞뜰] "석불암 石佛庵"은 건물도 총 세개로서 아주 작은 절간이었는데 주지 스님이 여승이더군요. 절에 대한 이야기를 좀 듣고 ['마애여래입상' 입구] "石佛庵"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주고, "부처울 습지"라는 이름까지 지어준 "마애 여래 입상 磨崖如來立像 "이 있는 곳은 <복하천>이 <남한강>에 합류 하는 곳에 있는데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안내문] "여주 계신리 마애여래입상 驪州桂信里磨崖如來立像" <경기도 유형문화제 제98호> 내용은 안매문에 잘 나와 있습니다. 강변 자연 암벽에 조각되어 있는 부처님인데... 둥글 둥글한 얼굴과 당당한 어깨, 멋들어진 옷자락과 연꽃무늬는 신라 시대 양식으로도 보이지만, 전체적인 수법은 고려 초기로 보인다고 합니다. <남한강>을 오르 내리는 배에서 아주 잘 보이는 위치에 자리 잡고 있어서 <강원도>에서 험한 물길을 따라 땟목을 타고 내려온 떼꾼들은 이곳에 들러 안전을 빌기도 했다고 ['복하천' 조망] <마애 여래 불상>에서 <복하천 福河川> 상류 방향을 조망합니다. 여주 이천 지역에 '福을 주는 하천'으로 38.5km 길이라는데 <임금님표 쌀>과 <왕터쌀>을 생산하게 하는 젖줄 중에 젖줄이랍니다. ['부처울 습지' 조망] 정면에는 <복하천>과 <남한강>이 합류하며 만들어 낸 "부처울 습지"가 조금씩 복원되 가고 ['복하천'-'남한강' 합수부 조망] 북쪽으로는 <복하천>이 <남한강>에 합류하는 곳이 발 아래 펼쳐집니다. 예전엔 <이천쌀>을 싣고 <한양>으로 가는 배들이 이 포구로 들락거렸답니다. ['계신리 마을회관' 입구 삼거리] 1:36 <석불암>을 둘러 보고 다시 <계산리 마을회관>으로 나와 <7코스>를 이어 갑니다. <석불암>을 다녀 오는대 22분이 걸렸군요. 100m 정도 올라 가면... [갈림길] 1:38 이정표가 <삼신당> 가는 길은 우측이라고 알리고 [주택 앞] 1:40 50여m 정도 비닐하우스 사잇길로 올라 가니 주택이 나오는데 우측엔 트랙터가 막고 있어, 주택 안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나와 우측으로 가고 ㅎ ['남한강변'] 1:48 그러면 다시 <남한강변>으로 나가게 되는데 자전거 도로에 낚싯꾼들의 차량들이 행렬을 이루고 있더군요. ['남한강대교'] 1:50 <광주-원주 고속도로>가 지나는 <남한강 대교> 밑을 통과하면... ['파사성' 조망] <여강길 8코스>인 <파사성>이 조망되기 시작하며, 그 뒤로 <양평군>의 <추읍산>이 보이고 <용문산>도 연무 속에 희미하게 조망됩니다. 제방길을 15분여 진행하면... ['장명교'] 2:04 <계장천>을 건너는 <장명교>를 통과하고 ['참외 단지'] 2:06 <장명교>를 건너면 <여주 참외 단지>가 있는데 <참외축제>도 열린다고 하네요. 우측 자전거길로 10여분 진행하면... ['강애산' 입구] [오름길] 2:15 "삼신당 공원"이 있는 "강애산"을 만나 올라 가면... ['삼신당공원'] 2:20 ['삼신당'과 '천양루'] <삼신당 공원>이 펼쳐지는데, 가운데에 "삼신당 三神堂"이 있습니다.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고, 뱃길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三神을 모시는 제단이람니다. 三神은 山神, 城隍神, 龍王神을 의미 한다고.... "천양루 天陽樓"는 '굿'하는 '굿청'이라는데 확실치 않고... [안내문] 자세한 내용은 안내문을 참고하고 [정자] <삼신당> 뒤로 올라 가 보니 <육각정>이 하나 더 숨어 있더군요. 여기서 좀 쉬고... [육각정에서 조망] <육각정>에서 내려 가며 <삼신당>을 조망하고 반드시 우측으로 가야 합니다. 왜냐하면 <스탬프함>이 우측에 있기 때문입니다. ['공원 정문] 2:54 <스탬프함>에서 계단을 내려 가면 <삼신당공원> 정문으로 나가고 ['이포 버스정류장'] 2:56 <이포버스정류장>을 지나면... ['이포나루 소공원'] 2:58 ['이포나루의 유래'] <이포리>의 중심지인 "이포나루 소공원"에 도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문을 참고하고....요약하면.... '여주시 금사면 이포리'와 <남한강> 건너편의 '여주시 대신면 천서리'를 연결하던 나루였는데 <한강 4대 나루> 중에 하나로 <이포대교>가 건설된 1990년까지 운영되었답니다. 교통요충지로서 수많은 배가 정박했고 큰 장이 섰으며 온갖 물산이 거래되던 엄청 큰 나룻터였다고.. 1919년 3.1만세운동 때엔 무려 3000명이 모여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곳이기도 하답니다. ['이포나루'] 3:00 현재의 <이포나루터>는 나루터였다는 표지석만 남아 있을 뿐 쓸쓸하기 그지 없는데 배꽃이 화려하게 포구를 뒤덮으며 남한강을 수 놓았을 그때를 추억해 봅니다. <단종>이 <영월>로 유배를 갈때 <광나루>에서 배를 타고 한강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이곳 <이포나루>에서 잠시 쉬어 갔다고 합니다. 그리고 <섬강>이 <남한강>과 만나는 곳에서 부터는 육로를 이용 했답니다. ['이포대교'] <이포나루>에서 강변길을 잠시 진행하면 <이포대교> 밑을 통과하고 ['이포보 주차장'] 3:11 이어서 <이포보 주차장>을 만나며 ['이포보'와 '이포대교' 조망] <이포보>와 <이포대교>를 동시에 조망 합니다. ['이포보'] ['이포보' 입구] 3:17 ['이포보' 수문] "이포보 梨浦洑" <4대강 공사>를 하면서 세워진 보 중에 대표적인 보 랍니다. <여주>의 상징 새인 <백로>의 날개 위에 '알'을 올려놓은 형상이 보 가운데 설치되었답니다. <여강길 공식 홈페이지>에는 <이포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자연을 변화시키는 대규모 건설은 신중한 논의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숙제를 남겨준 곳이기도 하다." [동쪽 조망] <이포보>에서 지나온 동쪽방향을 조망하면, <삼신당>이 있는 <강애산>이 보이고 [서쪽 조망] 남한강물이 <팔당댐>으로 흘러 가는 서쪽으로는 <정약용선생>도 오르고 산행기를 남긴 <용문산 백운봉>이 조망됩니다. ['이포보' 북단] ['북단에서 남단 조망] <이포보>는 다른 보와 달리 좀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백조의 날개"로 보이나요? ['파사성' 조망] 다음번에 갈 <여강길 8코스 파사성길>이 한눈에 들어 오는군요. <이포보전망대>에서 좌측 <육교>를 건너 <파사성>으로 올라 간답니다. ['이포보 전망대'] 3:28 <이포보전망대>는 다음번 <8코스>에서 올라 가 보기로 하고... ['천서리 사거리' 조망] 3:32 <이포보>를 벗어 나면 <막국수>로 유명한 <천러시 사거리>가 앞에 있는데 <7코스>는 우측 <이포보학습장>등이 있는 공원으로 안내하고 ['이포대교' 밑'] 3:35 ['당남리섬' 입구 갈림길] 3:40 <이포대교> 밑을 통과하여 아직 덜 조성된 공원을 통과하면 <당만리섬 입구>를 만나 우회전 하고 ['당남리섬' 입구] 다음 <9코스>에 답사 할 예정인 <당남리섬> 입구 다리를 조망하고 ['이포보공원' 입구 방향] <이포보공원> 정문으로 나가면... ['여강길 안내도'] 3:43 <여강길 7코스 종점>이며, <8코스 시종점>이기도 하고, <9코스 시점>인 "당남리섬 입구"입니다. <7코스>는 3시간 25분이 걸렸습니다. 여기서 답사를 마치고 [이포보공원' 입구] 3:45~4:00 ['37번국도'] <37번국도>로 나가면 지도에는 없는 <이포공원 입구> 버스정류장이 있더군요. ['천서리 사거리' 버스 시간표] ['11번' 시내버스] <이포공원입구> 버스정류장에서 <천서리>에 '3시55분'에 출발하는 <11번버스>를 여기서 '4시 정각'에 타고 <여주역>으로 가 귀가했습니다.
"나는 내가 가는 길이 후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될까봐 언제나 조심스럽다"
파란문印

  ★살며..느끼며..서로 사랑하며 ☆홍어와 무인도☆ 여기클릭


여강길6~7코스(나드리).gpx
0.10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