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과 효의 정신이 함께하는 충효의 고장』
[동작충효길] 7~6코스 "까치산길-동작마루길" 답사기
사당역-까치고개-까치산공원-상도중-백운고개-숭실대입구역-살피재-
상도근린공원-양녕대군묘-국사봉-사자암-성대시장-신대방삼거리역
['동작충효길' 안내도]
[국토지리원 e맵 지도]
"동작충효길"은 7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는데 총길이는 25km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저는 7코스부터 역으로 답사하려 합니다.
['사당역6번출구']
['사당역6번출구' 앞 '만남의 광장'] 9:55
2020년 5월 5일 (화) 흐림
[사당역6번출구]에 있는 '만남의 광장'에서 "동작충효길 7코스 까치산길"을 출발합니다.
이곳은 [동작충효길]의 종점이지만 출발점으로 잡고 역으로 진행해 보도록 하는 것이고...
['낙성대' 방향] 10:00
[사당역6번출구]에서 서쪽방향인 [낙성대역] 방향으로 10여분 올라 가면...
['까치고개'] 10:05
공식적인 명칭이 "관악까치자연길"이라는 생태통로 육교를 만납니다.
이 생태통로가 있는 고개는 "까치고개"라고 하는데 "관악지맥" 마루금이 지나는 고갯마루입니다.
[관악지맥]은 [한남정맥]의 "백운산"에서 분기하여 [안양천]과 [탄천]의 분수령을 이루는 산줄기이죠.
'까치'는 한자로 '작 鵲'으로 쓰지요. 그래서 이고개를 "작현 鵲峴"이라고도 부르더군요.
+ [관악지맥]에 대해선 이 글의 끝에 첨부된 [파란문]이 두발로 쓴 산행기를 참고 하시기 바람니다.
[들머리]
[까치고개]에는 [관악산둘레길] [인헌공 강감찬길] 등 지역둘레길의 출입구이기도 하군요.
계단을 조금 올라 가면...
[갈림길]
이정표가 길안내를 하는 갈림길이 바로 나타나는데
직진성 좌측길은 [관악산]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길은 [동작충효길]이 되겠습니다.
우측 [관악까치자연길]이라는 생태통로 육교로 들어 가면...
['관악까치자연길']
['사당역' 방향 조망]
생태통로 위에서 동쪽방향을 조망하고...
['동작충효길' 안내도] 10:14
['7코스 개념도']
[동작충효길 종합안내도]가 설치되 있는데, [7코스]를 확대해서 자세히 참고 하면
[7코스]는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까치산공원"을 통과하는 것이었습니다.
[정자 쉼터] 10:17
[운동시설]
[까치산공원]에는 높이가 100m 정도 되는 산봉우리들이 연이어 있는데
[동작구]에서는 자연생태환경이 가장 잘 보존되 있는 공원이랍니다.
주변 주민들의 건강생활공간이어서 관련 체육시설과 산책로가 잘 조성되 있군요.
['까치산' 정상] 10:21
[까치고개]에서 15분여 공원을 거닐면 [까치산공원]의 대표 산봉우리인 "까치산 鵲山 122.3m"에 오릅니다.
정상엔 발지압 시설이 있습니다.
[공터]
['청산정'] 10:27
이어서 "청산정 靑山亭"을 지나면...
[내림길]
[영산홍]
내림길이 이어지며 영산홍이 공원을 더욱 아름답게 꾸며주는 갈림길을 지나 내려 갑니다.
['까치산공원' 출입구] 10:46
['까치산 차없는 거리']
그러면 [상도동] 방향으로 통하는 공원출입구를 나가게 되는데 "까치산 차없는 거리"가 이어 집니다.
이 거리도 [관악지맥] 마루금이 지나는 산줄기인데 도시개발로 무력화 되었습니다.
좌측은 [관악구 봉천동]이고 우측은 [동작구 사당동]이 되겠습니다.
['상도중' 앞 갈림길] 10:52
[차없는 거리]를 잠시 진행하면 [상도중학교] 후문 근처에 이정표가 있는 갈림길을 만납니다.
우측 [백운고개(사당이고개)] 방향으로 들어 가면...
['상도중' 가는 길]
['상도중' 후문] 10:55
[상도중학교 후문]을 만나는데 [관악지맥]은 여기서 [상도중학교]로 올라가 운동장을 가로질러
[백운고개(사당이고개)]로 가서 [서달산]으로 갑니다.
하지만 학교 후문은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잠겨 있으며 [동작충효길]은 학교를 우측 도로로 돌아 갑니다.
['상도중' 돌아 가는 길]
도로를 따라 [상도중] 축대를 돌아 가면...
['상도중' 정문] 11:00
[상도중학교] 정문을 만나고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아파트 단지'] 11:00~11:21 (20분 휴식)
[아파트단지 정문]
제가 [관악지맥]을 할때만해도 일반주택들이 밀집되 있었는데
그동안에 재개발되어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 했군요.
아파트단지 이름은 [사당롯대캐슬골든포레아파트] 랍니다.
아파트 쉼터에서 20여분 쉬다가 출발합니다.
['백운고개'] 11:26~11:28
아파트단지 정문을 나서면 "백운고개(사당이고개)"를 만납니다.
'사당동'은 큰 사당 舍堂이 있었다고 붙여진 명칭이라는데, 이 근처에 있었나 봅니다.
그레서 이 고개를 "사당이고개"라고도 부른다는군요.
['백운고개 생태통로']
"백운고개(사당이고개)"
보이는 생태통로를 건너가면 [서달산]과 "현충원"이 있으며
[관악지맥]과 [동작충효길 1~2코스]로 이어 집니다. 며칠후 답사 할 예정입니다.
['6코스''7코스' 시종점]
[백운고개(사당이고개)]는 [동작충효길7코스 시종점]이고, [6코스 시종점]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동작6코스 동작마루길]까지 진행하려고 합니다.
['6코스 개념도']
[6코스 동작마루길]은 이곳 [백운고개]에서 [상도근린공원]과 [국사봉]을 통과하여
[신대방삼거리역]까지 가는 4.8km 거리라고 알려 줍니다.
['숭실대' 입구 방향]
['숭실대' 정문] 11:38
도로를 따라 10여분 내려 가면 "숭실대"를 만나고
['숭실대입구역'] 11:47
이어서 [숭실대입구역]을 만나 좌측으로 방향을 바꾸면...
['살피재' 가는 길]
[살피재]를 넘어 [관악구 봉천동]과 [서울대]로 가는 도로를 걷게 되는데
6분 정도 올라 갑니다.
['살피재 (봉천고개)'] 11:53
"살피재(봉천고개)"를 만납니다.
[관악구]와 [동작구]의 경계로 [지하철7호선]이 땅 밑으로 지나 가고 있는 제법 높은 고개입니다.
그래서 옛날엔 이 고개에 산적 등 나쁜놈들이 지나는 사람들로 부터 재물을 뜯어서
이 고개를 넘을 땐 '주변을 잘 살피며 넘으라'고 하는데서 유래하는 지명이랍니다.
['살피재'의 유래]
['상도근린공원' 들머리] 11:56
[살피재]에서 [상도근린공원]으로 들어 가는 입구 입니다.
['상도근린공원']
['상도근린공원']
[살피재]에서 공원으로 들어가 8분여 진행하면...
[삼거리] 12:04
안내도와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를 만나고
['상도근린공원'] 12:05
이름 모를 고개를 가로질러 건너편 공원으로 들어 가면
[배드민튼장] 12:19
배드민튼장등 생활체육시설이 있는 [상도근린공원]을 통과하고
[내림길]
['구암고교'] 12:26
이어서 내림길을 내려 가면 [구암고등학교] 옆을 지나게 됩니다.
['구암정'] 12:27
[구암고등학교]를 지나면 바로 "구암정 龜巖亭"이라는 정자를 만납니다.
거북바위가 근처에 있는지 돌아 봤는데 그런 바위는 보이지 않았고
['봉현배수지' 입구]
['유아숲체험장']
[삼거리]
['솟대'] 12:36
계속해서 [상도근린공원]을 지나 가는데, [봉현배수지]가 지하에 있답니다.
[봉우리] 12:39
['국사봉' 조망] 12:40
[상도근린공원]의 끝 지점에 봉우리가 하나 나타나는데, 봉우리 위에선 "국사봉 180.9m"이 조망됩니다.
[내림길]
['국사봉터널' 위 고개] 12:45
[상도근린공원]에서 내려 가면 [국사봉터널] 위 고개를 만나는데, [국사봉]은 직진합니다만
저는 이 근처에 있는 "양녕대군묘"를 둘러 보고 [국사봉]으로 오르기 위해 우측으로 내려 갑니다.
['양녕대군묘' 방향] (20여분 양녕대군묘 한바퀴 순회)
조금만 내려 가면 [양녕대군묘]인데 실수로 [양녕대군묘]를 한바퀴 빙 도느라고 15분 정도 소비하고
['양녕대군묘' 정문] 1:10
['지덕사']
"양녕대군묘" 정문에 도착했는데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문은 잠겨 있습니다.
[양녕대군]은 [세종대왕]의 큰형님이며 왕위를 양도한 세자였는데....
[양녕대군]은 세자로 책봉 된 뒤에도 행실이 개차반이라고 아버지 [태종 이방원]으로부터 세자 자리를
박탈 당하고,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에게 세자 자리를 양위하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지요.
그런데 [양녕대군]의 행실은 아버지의 살인 행위에 대한 반항적인 거라고 평하는 학자들이 많습니다.
[태종 이방원]이는 무지무지하게 많은 사람들을 죽였지요. 사돈인 [세종대왕]의 장인 어른까지 죽였으니....
여하튼 [양녕대군]으로부터 [충녕대군]에게로 세자 자리가 양위되면서 우리나라 최고의 聖君이라는
[세종대왕]을 탄생시킬수 있었으니 [양녕대군]을 좋게 말하면 聖君을 만든 聖兄이 되겠습니다. ㅎ
그런데 그는 왕이 된 동생 [세종대왕]보다 훨신 더 오래 살며 70세근처까지 천수를 누렸는데
[문종]의 아들 [단종] 때에 '계유정란'으로 [수양대군]이 [단종]을 죽이고 왕위 찬탈을 할때
[수양대군]의 편에 서서. 그 거사를 추인해 주며 [세조]를 탄생시키는데 일등 공신이 되었죠.
왕위에 오르지 않고 동생에게 양위한게 오히려 세종보다 더 오래 살며 권력을 행사 할수 있어서
인생 전체로 보면 더 잘 된 결과가 되었습니다. ㅎ
어쩌면 자신이 박탈 당했던 왕위에 대한 보복을 조카 [수양대군]을 통해서 한것으로...
['국사봉' 조망]
세자에서 대군으로 돌아 간 [양녕대군]이 시간 날 때마다 앞에 보이는 [국사봉]에 올라
[경복궁]을 바라보며 나라를 염려 했다는 [국사봉]이 아주 가깝게 조망됩니다.
['국사봉' 등산로 입구] 1:19
[양녕대군묘]에서 [행복유치원]을 찾아 가면 [국사봉 등산로] 입구를 만납니다.
['국사봉생태놀이터']
[행복유치원] 옆길로 조금 올라 가면 "국사봉생태놀이터"를 만나고
[오름길]
계속해서 제법 가파른 오름길을 20여분 올라 가면
[바위]
[운동시설]
정상부에 도착하는데 정상 부근엔 지붕까지 있는 생활체육시설이 즐비했습니다.
['국사봉' 정상] 1:39~1:46
['국사봉' 정상 이정표]
"국사봉 國思峰 180.9m"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양녕대군묘]에서 언급 한바와 같이 [國思峰]이라 한다는데
정상에는 사설단체들이 세운 '스승 사 師'를 사용하는 [國師峰]이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안내문을 보니 [무학대사]가 조선 개국시에 이 산에 올라 풍수지리를 보았다고...
그러니까 [國思峰]과 [國師峰]을 혼용하고 있다고 안내하고 있었습니다.
[운동시설과 전망대]
[관악구 봉천동]과 [동작구 상도동]의 행정구역 경계인 [국사봉]인데
주변 주민들에게는 인기 있는 건강생활 등산로인듯 합니다.
[내림길]
[정자]
[내림길]
제법 가파른 국사봉 내림길을 8분 정도 내려 가면...
['사자암'] 1:54
"사자암 獅子庵"이라는 절간이 보이는데 안내문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문을 참고 하고..
[내림길]
['재넘이고개'] 2:00
다시 내림길을 6분여 더 내려 가면 "재넘이고개"에 도착합니다.
[상도3동]의 최상단에 있는 도로더군요.
좌측으로 잠시 진행하면...
['장미어린이공원'] 2:06
[장미어린이공원]이라는 조그만 공원을 만나는데 여기서 [노량진] 방향으로 내려 갑니다.
['상도3동' 마을길 통과]
[상도동] 마을 골목을 13분여 내려 가면...
['성대전통시장'] 2:19~3:22 (약1시간 뒷풀이)
['성대전통시장']
"성대전통시장"을 만나는데 시장 안 순대국집에서 점심식사를 하며 한잔하고
['신대방삼거리역'] 3:23
[신대방삼거리역]에서 [7코스-6코스] 답사를 마치고 귀가했습니다.
['7코스-6코스' 실트랙 구글어스]
['7코스-6코스' 실트랙 국토지리원지도]
안내판에는 [6~7코스]의 거리가 8.4km라고 알리고 있으나,
제가 알바 포함 실제 걸은 거리를 GPS로 측정한 결과는 11.3km였으며 4시간 20분 정도 걸렸습니다.
관악지맥 마지막구간 산행기 http://blog.daum.net/paraanmoon/7801493 여기클릭
"나는 내가 가는 길이 후에 오는 사람들의 길이 될까봐 언제나 조심스럽다"